1.유기농업은 무엇인가?
나의 건강과 타인의 건강이 서로 영향을 받으면서 사회생테 시스텐 속에서 연결돼 있음을 알게 된것이 코로나로 부터 얻은 값진 교훈이 아닐까. 그런 점에서 사람이 필요로 하는 먹을거리를 환경으로부터 생산해내고 다시 환경과 공생해가는 과정을 들여다보는 유기농업은 우리의 삶과 생태계의 건강에 답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자 가치로 재조명 되고 있다.
친환경놀업은 생물의 다양성을 증진하고, 토양에서의 생물적 순환과 활동을 촉진하며, 농어업생태계를 건강하게 보전하기 위하여 합성농약,화학비료,항생제 및 항균제 등의 화확 자재를 사용하지 아니하거나 사용을 최소화한 건강한 환경에서 농산물을 생산하는 산업을 뜻한다. 생산된 농산물은 유기농산물과 무농약농산물로 구분해 표시하고 있으며 유기농산물은 합성농약과 화학비룔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재배한 것, 무농약 농산물은 합성농약을 전혀 ㅅ용하지 않고 화학비료는 권장 시비량의 1/3이내로 사용하여 재배한 것이다.
국제유기농연맹에서는 유기농업의 4대원칙을 다음과 같이 정하였다.
첫째, 건강 원칙 토양,작물,동물,인간 그리고 지구를 서로 뗼 수 없는 하나로 인식하고 이를 유지 증진시켜야한다.
둘째, 생태원칙 살아있는 생태계와 그 순환 체계에 기초를 두고 이를 따르고 유지될 수 있도록 도와야한다.
셋째, 공정원칙 모두 함께 환경과 삶의 기회를 누릴 수 있게 공정성을 보장하는 관계를 수립해야한다.
넷째,배려원칙 현재와 앞으로의 세대, 그리고 환경의 건강과 참살이를 보장할 수 있도록 유기농업을 실천해야 한다.
2.기후변화의 대응전략으로 주목받는 유기농업
지구촌 곳곳에서 이상기후가 나타나고 있다. 폭염,한파,폭우,가뭄 등의 기상이변은 인간의 온실가스 배출로 인해 발생된 것이다. 기후변화의 위기는 인류 생존을 위해 반드시 해결하여야 한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에서는 우리가 당면한 위기 상황과 함께 인류의 생존을 위해 지구 온도 상승 폭을 1.5ºC 이내로 제안해야 함을 강력하게 권고 하였고, 2100년까지 지구 평균 온도 상승폭을1.5ºC 이내로 제한하기 위해서는 2010년 대비 2030년 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최소 45%이상 감축과 2050년에는 탄소중립을 달성하여야 한다는 경로를 제시하였다. 농업부문에서는 온실가스를 배출하기도 하지만 토양 탄소저장과 바이오매스(단위 면적당 생물체의 중량 또는 단위 시간당 당위 면적의 생물체 무게) 생산을 통해 온실가스를 상쇄하기도 한다. 특히, 토양은 대기보다 3배 이상의 탄소를 저장하는 주요 탄소 흡수원이다. 탄소중립을 위해선 토양으로의 탄소저장이 중요한데 이 부분에 있어서 토양을 살리고, 순환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기농업과 일치한다. 유기농업의 경우 토양에 축적되는 탄소량이 많고, 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아 간접적으로도 온실가스 저감효과가 있다. 2010년 식량농업기구의 보고서에 따르면 유기농업은 일반농업에 비해 토양 탄소저장 능력이 높고,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어 중요한 기후변화 대응 전략 중의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3.우리나라의 유기농업
농촌진흥청은 유기농업의 공익적 기능 및 가치 확산 연구분야로 생물 다양성, 탄소저장 및 온실가스저감, 유기농경지의 환경변동 등의 연구를 통하여 유기농산물생산 기반기술 및 병해충,잡초 관리 분야로 유기종자 및 적합 품종,토양 및 얀분관리, 병해충 및 잡초관리 기술등을 개발한다. 이로 인해 국내 환경에 적합한 세계적 수준의 유기농업 기술 체계를 확립하고자 한다. 또한 유기농업 실천기술 확산 및 유기농가 소득 증대를 위해 유기재배 매뉴얼 보급, 현장실증 연구, 정책지원, 국내외 쟁점 대응 미 대내외 협력등을 추진하고 있다. 주요 연구성과로는 유기농 토양, 양분관리 기술로 벼, 배추 2종의 유기자원 시비 처방 시스템 구축과 국내 부산물을 활용한 수업 유박 대체 발효 비료 제조기술 확립, 양분관리용 유가액비(액체상태의 비료)제고 기술을 표준화 하였다. 또한, 유기농 벼해충 방제기술 개발, 오이,감자 등의 주요 해충 관리용 농자재 선발, 재배적 기술을 활용한 병해충 관리 기술, 클로렐라 활용 기술들을 개발 및 보급 하였다. 이외에도 유기종자 분야로 작물별 유기농 적합 저항성 품종 선발, 유기 종자 소독, 생산기술을 개발하였고, 유기농 생태관리 분야로는 유기농 재배단지의 생물 다양성 특성 및 증진 기술, 복합생태농업 연구등을 수행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기술들을 신기술 시범사업추짆여 농가 현장에 보급, 확산하고 50여종의 품목별 유기재배 매뉴얼 및 기술서를 발간하여 현장의 애로를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
앞으로도 탄소저감과 생태계 건강성 연구를 본격적으로 착수하여 유기 농경지 생태계 건강성 연구를 본격적으로 착후하여 유기 농경지 생태계 건강성, 탄소중립 및 공익가치 표출을 통한 가치소비 초점에 맞춰 연구 방향성을 조정하였다.
더불어 유기농업 기술위원회 등다양한 외부의 시각을 수용하고 소통하여 이는 우리나라를 넘어 세계적으로 건강한 농업생태계를 구축해가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기대된다.
댓글